
헌옷수거함(의류수거함)은 사용하지 않는 의류를 재활용하거나 기부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헌옷수거함에 넣을 수 있는 그리고 넣으면 안되는 대표적인 품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또한 우리집 근처에 위치한 헌옷수거함을 찾을 수 있는 방법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헌옷수거함이란?
헌옷수거함이란 사용하지 않는 의류나 신발 또는 가방 등을 모으는 의류수거함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지방자치단체나 민간 재활용업체 또는 사회적기업 등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헌옷수거함은 아파트단지나 공공시설 또는 대형마트 등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헌옷수거함에 넣을 수 있는 품목과 없는 품목 그리고 내가 사는 곳 주변에는 어디에 헌옷수거함이 있는지 찾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헌옷수거함 가능 품목
헌옷수거함에 넣을 수 있는 대표적인 품목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가능 품목이라도 깨끗한 상태로 세탁 및 건조한 상태로 의류수거함에 넣어야 합니다.
- 의류
- 신발
- 가방
- 담요
- 담요(얇은이불, 누비이불)
- 커튼
- 카펫
신발은 다른 의류와 함께 섞이면 제 짝을 찾기 힘들어지기 때문에 짝을 맞춰서 신발끈끼리 서로 묶어 넣거나 비닐봉지에 묶어 넣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방은 지퍼를 열어둔 상태로 수거함에 넣는 것을 추천드리며, 작은 액세서리는 작은 봉투에 넣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지차체에 따라 극세사이불, 벨트, 지갑, 넥타이, 보자기, 손수건, 목도리, 스카프, 장갑 등도 헌옷수거함에 투입 가능합니다.
2. 헌옷수거함 불가 품목
헌옷수거함에 넣으면 안되는 대표적인 품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만약 넣으면 안되는 품목을 의류수거함에 넣을 경우 일부 지자체에서는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솜이불
- 베게
- 방석
- 쿠션
- 실내화
- 방석
- 옥매트(옥장판)
- 바퀴가방(캐리어 등)
- 골프가방
- 롤러스케이트
이외에도 이물질이 묻어있거나 찢어진 의류 등은 수거가 불가능합니다. 이 경우 종량제봉투에 넣어 버리거나 대형폐기물로 신고하고 배출해야합니다.
특히 더러워져 오염된 헌옷 등은 헌옷수거함에 있는 다른 의류들도 오염시시켜 재활용할 수 없게 만들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3. 서울 헌옷수거함 위치
서울시는 헌옷수거함을 구별로 지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위탁관리 등으로 수집되지 않은 구가 있기 때문에 모든 의류수거함의 위치라고는 할 수 없지만,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가장 정확한 최신 자료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본인이 사는 곳이 서대문구, 마포구, 영등포구, 구로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광진구 등이라면 서비스가 되고 있으니 서울시의 의류수거함 위치 현황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4. 전국 헌옷수거함 위치
전국에 위치한 헌옷수거함 위치는 ‘공공데이터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 지자체에서 관리하는의류수거함의 도로명 주소와 상세 위치 그리고 확인된 기준일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헌옷수거함 FAQ
헌옷수거함에 버린 의류들은 어디로 갈까요? 수거된 의류들은 상태에 따라 기부되거나 해외로 수출 또는 원단 재활용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헌옷수거함은 지자체가 운영하는 것이 아닐 수 있습니다. 아파트와 계약을 맺고 사설업체에서 설치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일부의 경우 개인이 장애인단체 또는 보훈단체의 이름을 빌려 운영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되면 의류를 수거한 수익이 개인의 이익으로 귀속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꺼림직하다면 헌옷수거함의 운영주체를 확인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만약 직접 기부를 하고 싶다면 아름다운가게 등을 통하는 것도 좋습니다. 직접 찾아가도 되고 택배기부 또는 방문수거 등을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기부금으로 처리되어 세액공제 혜택도 받아볼 수 있습니다.
관련글
우리집 근처 무인민원발급기를 찾고 계신가요? 무인민원발급기에서 발급 가능한 서류부터 수수료 및 위치를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정책 제도와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POLICY-OH